낙농가 생산비 절감 위해 번식관리, 위생·환경관리 집중해야
\r\n
낙농가가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번식관리와 위생·환경관리에 집중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낙농가의 생산비 절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검정성적 상·하위 농가의 관리실태 비교 조사 결과’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이번 조사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 참여 농가 가운데 상·하위 각각 30농가를 대상으로 농장 관리 수준, 우유 생산, 유사비, 번식, 질병 도태 등 관련 23개 지표를 비교 분석했다.우유 생산과 유사비 성적을 분석한 결과 상위 농가는 하위 농가보다 마리당 사료비가 9% 높은 반면 우유 생산량은 29%가량 많고 체세포수도 약 34% 낮았다. 이 때문에 상위 농가 유사비가 17%포인트 낮게 나타났다. 축과원은 사료 급여와 체세포수 관리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번식 성적을 분석한 결과 상위 농가의 분만 횟수(산차)는 2.6산으로 하위 농가 2.3산보다 13% 높았다. 분만 횟수가 많다는 것은 젖소가 우유를 생산하는 경제수명이 그만큼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상위 농가의 초산 월령은 26.9개월로 하위 농가보다 2.2개월 짧았으며 분만 간격은 433일로 38일 짧았다.상위 농가는 체계적인 육성우 관리와 분만 전 관리, 번식관리 등으로 임신하지 않는 공태 기간을 최소화해 사료비 부담을 줄이고 가축 감가상각비를 절감했다.축과원이 질병에 의한 도태성적을 분석한 결과 동물약품 사용 금액은 상위 농가가 하위 농가보다 56% 높았다. 연평균 도태율은 상위 농가가 18%포인트 낮게 나타나 상위 농가가 젖소 경제수명 연장과 질병 관리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분석됐다.상위 농가는 번식관리와 위생·환경관리, 사양관리, 경영관리 등 4개 지표 모두 하위 농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번식관리가 63%, 위생·환경관리 41%로 하위 농가와 큰 차이를 보였다.김상범 축과원 낙농과장은 “상위 농가와 하위 농가 차이가 확연했던 번식관리와 위생·환경관리에 주안점을 두고 생산비 증가 요인을 개선한다면 생산비 절감을 꾀할 수 있다”며 “젖소 생산비 절감을 위한 사양관리 기술 개발 등 농가 소득 개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출처 : 농수축산신문 박현렬기자 낙농가 생산비 절감 위해 번식관리, 위생·환경관리 집중해야 < 낙농육우 < 축산 < 기사본문 - 농수축산신문 (aflnews.co.kr) \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