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팜스 광장

Easyfarms Square

닭고기 공급과잉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

\r\n \r\n
\r\n
\r\n

“닭고기 공급과잉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

\r\n

농경연, 병아리 생산잠재력 전년比 22%↑…내년 육계 산지가격 1천원 이하 예상

\r\n
\r\n
\r\n

 

\r\n

업계, “냉동비축·렌더링 한계”…종계 도태시켜야

\r\n

 

\r\n

닭고기 공급과잉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달 25일 축산관측을 통해 내년 4월까지 병아리 생산 잠재력이 전년보다 22% 증가해 육계 공급과잉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농경연에 따르면 올해 9월 육용 종계 병아리 입식 마릿수가 48만4천수로 전년 동월보다 46.1% 감소했다. 하지만 올 1~9월까지의 종계 병아리 입식이 568만 7천마리로 전년 동기에 비해 11%나 증가했기 때문에 내년 1분기까지 병아리 생산 잠재력이 크게 상승해 육계 공급과잉이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공급과잉으로 육계 산지가격 하락이 내년 1월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경연은 12월~내년 1월 도계마릿수는 전년보다 각각 13.2%, 15% 증가한 8천502만, 8천54만 마리로 예상했다. 또한 낮은 닭고기 가격으로 전년과 같이 대규모 할인행사를 진행하기 어려워 수요가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농경연은 12월~ 내년1월 육계 산지가격을 kg당 1천원 이하에서 형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냉동비축이나 병아리 렌더링만으로는 수급조절에 한계가 있다”며 “종계에 난계대질병 검사를 강화해 질병이 있는 종계를 도태시킨다면 현재 총 물량의 10%정도를 감축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r\n

 

\r\n

축산신문 서혜연기자 글 발췌 2015.11.04

\r\n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