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yfarms Square
자돈 후반기 써코질병 피해 크다
현장수의사, 증체저하 / 출하지연 등 경제적 손실 막대 지적
\r\n외국논문서도 확인...추가 배신접종 등 철저한 질병관리 필요
\r\n\r\n
자돈 10주령 이후(육성.비육 구간) 써코바이러스 질병 관리가 필요하다는 현장 수의사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r\n대다수 양돈농가들은 보통자돈 3주령에 써코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한다.
\r\n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백신효과가 떨어지면서 체내 면역기관에숨어있던 써코바이러스가 혈액을 타고 전신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r\n이렇게 써코바이러스 질병이 자돈 후반기에 다시 고개를 들게 된다.
\r\n이경원 중앙백신연구소 이사는 \"자돈 후반기 써코바이러스 질병이 통계적으로 잡히는 지는 않지만, 상당수 양돈장에서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r\n이러한 자돈 후반기 써코바이러스 질병을 두고, 일각에서는 생산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r\n하지만, 현장수의사들은 자돈 후반기 써코바이러스 질병이 폐사를 많이 일으키는 것은 아니지만, 증체저하, 출하지연, 사료비 증가 등 경제적 피해를 유발한다고 설명한다.
\r\n게다가 다른 호흡기 질병 감염을 불러오는 단초를 제공한다고 전하고 있다. 외국논문에서도 자돈 후반기 써코바이러스 질병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구체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r\n이경원 이사는 \"3주령 뿐 아니라 육성.비육구간에 한번 더 써코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양돈장 생산성을 지키는 주요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r\n\r\n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글 발췌(10.13)
\r\n\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