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
\r\n
\r\n
산란계 사육농가의 기업화·규모화가 경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추세가 계란의 공급과잉과 함께 가격폭락으로 직결, 산란계농가들의 경영난이 극에 달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 ‘2015년 4분기 가축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란계 사육가구수는 1천149가구로 10년 전(2천310가구)에 비해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이에 비해 동기간 10만수 이상 20만수 미만 가구수는 34가구에서 104가구로 약 3배, 20만수 이상 가구는 28가구에서 74가구로 2.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군농장의 증가세는 곧바로 계란생산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해 12월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6.2% 증가한 7천188만수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6개월령 이상 산란계 마릿수 증가세가 두드러진데다 생산성까지 회복되면서 당분간 큰 폭의 계란생산량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자 산란계농가들 사이에서는 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수급조절대책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 산란계 농가는 “1개 대군농장에서 하루에도 수십만개의 계란이 쏟아지다 보니 계란 출하처 확보를 위한 출혈경쟁이 불가피한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계란값은 끝 모를 추락을 거듭하고 있고, 중소농가는 생업 유지조차 힘든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더구나 산업의 특성상 사육규모 확대 추세를 통제할 적절한 장치가 없는 만큼 지금 상황에서는 대군농장이 나서는 것 외에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일각에선 정부가 가축사육환경 개선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가에 지원하고 있는 축사시설 현대화사업이 산란계 농가의 경쟁적인 규모화 추세를 부채질하고 있는 만큼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 정부의 반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r\n
\r\n
축산신문 서혜연기자글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