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팜스 광장

Easyfarms Square

환경부 드론 수색팀 GPS 트랩 집중 투입 경북 ASF 확산 방지 총력

\r\n

 

상주 영천 군위 외 김천 구미 등 ASF 비발생 지역

환경부 드론 수색팀 GPS 트랩 집중 투입 경북 ASF 확산 방지 총력

 

 

환경부가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해 경북지역 주요 지방자치단체에서 총력 대응에 나선다.

이번 대응에는 무인기 드론 수색팀 10개, 위치추적장비 GPS 기반 포획트랩 900여 개 등이 활용된다. 

환경부는 경북 지역 내 ASF 발생 지자체 중 하한선에 위치한 상주, 영천, 군위와 ASF 비발생 지역 가운데 서남부쪽에서 인접한 지자체 등 총 9개 시군을 대상으로

야생멧돼지 포획, 수색 대응을 강화한다고 8일 밝혔다.

ASF 비발생 지역 가운데 집중대응 대상인 곳은 김천, 구미, 칠곡, 청도, 경산, 경주 6곳이다.

야생멧돼지 ASF는 2019년 10월 경기 연천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이달 5일 기준 누적 4108건 발생했다.

ASF 바이러스는 점차 남하해 올해 6월 15일 경북 영천과 7월 2일 경북 안동 양돈농가에서, 6월 20일에는 대구 군위군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검출됐다.

 

경북지역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집중대응 지역 [자료=환경부] 2024.07.08 sheep@newspim.com

 

이에 정부는 발생지역은 물론 경상북도 서남부지역으로 추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또 여름 이후 9월 경부터 행동반경이 넓어져 농경지 출몰이 늘어나는 야생멧돼지의 생태 특성을 고려해 농작물 수확기 이전에 산악지역을 중심으로

야생멧돼지에 대한 집중 포획이 중요하다고 봤다.

환경부는 구체적으로 야간에 야생멧돼지 체온을 감지해 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열화상 드론 활용 감시팀 10개를 해당 지역에 집중 투입한다.

원거리에서도 야생멧돼지 포획여부를 알려주는 위치추적장비GPS 를 탑재한 포획트랩 900여 개도 설치한다.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산악 지대, 깊은 숲 속 등에서도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찾도록 탐지견 8마리를 상시 배치한다.

또 대구 지방 환경청과 함께 ASF 발생에 대비하는 지자체 준비 태세를 점검하고 현장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한 현장 교육을 실시한다.

지자체가 스스로 미흡 사항을 점검할 수 있도록 ASF 방역 교육 동영상도 제작, 올 8월 중 배포한다.

수렵인 등 인위적 요인에 의한 질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 2월 마련한 ASF 인위적 확산 방지 대책의 이행 현황도 점검한다.

수렵인, 포획도구 등을 대상으로 ASF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하고 양성 등 방역 취약 사항이 확인될 경우 포획활동 일시제한 등의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ASF 방어선에 가용자원을 집중 투입하여 총력을 다할 계획 이라며 국민들도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발견하게 되면

관할 지자체나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등으로 즉시 신고를 부탁드린다 고 요청했다.

 

 

 

출처 : 세종 뉴스핌 양가희 기자 sheep@newspim.com

\r\n
목록보기